Hello World!

개발자도 궁금한 IT 인프라

by PyTong

기아 MLOps 직군으로  면접을 봤었는 데, 흥미 있는 기술이 있냐는 질문에 클라우드, 특히 쿠버네티스 분야에 대해서 신나서 말했더니

 

면접관 님이 "오히려 Infra 직군에 더 관심이 많은 게 아니냐" 라는 질문에 

 

인프라, 클라우드, 데이터 3 가지 분야의 관계에 대해서 두루뭉실 하게 이해하고 있고, 나는 과연 어떤 분야에서 어떻게 크고 싶은 가 라는 생각에 빠졌다. 그러던 중 인프라 관련 책이 생각나서 읽게 되었다.

 

 

읽고 생각 드는 것은 " 클라우드를 활용해서 데이터를 처리 및 운영하고, 참고용으로 인프라 지식을 알고 있어야 겠다"

 

인프라 하드웨어 쪽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흥미가 떨어졌다..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2982279

 

개발자도 궁금한 IT 인프라 | 정송화 | 제이펍- 교보ebook

하룻밤에 읽는 개궁금 IT 팟캐스트, 핵심을 꿰뚫는 질문으로 독자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MC 개구루 끝을 알 수 없는 지식을 보유한 IT 인프라 전문가이자 열정의 MC 코타나 IT 인프라에 대한 넓은 지

ebook-product.kyobobook.co.kr

 

 

 

1.  서버, IT 인프라의 중심

  • 메인 프레임 : IBM에서 나온 서버 장비, 현재까지도 높은 안정성을 기반으로 운용되고 있다. (Z 시리즈)
    • 신뢰성 : 하드웨어, 운영체제, 서드파티 솔루션 까지 검증해 높은 신뢰성을 보장
    • 안정성 : 유닉스나 x86에 비해 CPU 사용량이 높더라도 과도하게 느려지거나 비정상 종료가 발생하지 않음
    • 유연성 : 파티션(LPAR) 기능 제공
    • 동시성 제공 기술  : CF, DASD 등을 제공한다
  • 텔넷 : IBM에서 사용했던 터미널 모델
  • 서버 아키텍쳐 
    • 1티어 : 메인프레임 - 터미널
    • 2티어 : 서버 - 클라이언트
    • 3티어 : 클라이언트 - 웹 서버 - 데이터 베이스 서버

▶ IT 초창기 압도적인 IBM 회사의 모습이 그려지고, 왜 워렌 버핏이 IBM에 투자했었는 지 알 거 같다.

2. 스토리지, 대용량 고속 저장 장치

  • 스토리지
    • DAS (Direct Attached Storage) : 서버에 스토리▷지가 바로 연결되는 방식 ex) 컴퓨터 - 하드디스크
    • SAN (Storage Area Network) : SAN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는 데, 일반적으로 확장해서 쓸 때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된 방식
  • 스토리지 선택 기준
    • 성능 : IOPS, 스토리지 컨트롤러의 처리 대역폭, 캐시 용량 등의 물리적인 성능
    • 확장성 : 디스크 장착 개수, 최대 용량, 인터페이스 종류별 호스트 = 서버와 스토리지간의 접속 포트
    • 호환성 : 서버 인터페이스 및 운영체제 지원 여부
    • 가용성 : 무중단 업무를 위해 RAID, 부품 이중화, 캐시 미러링 등의 기술 지원 여부
    • 활용성 : 데이터의 복제 및 백업하는 스토리지의 자체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가 할 수 있는 지
  • RAID
    • 미러링 : 같은 데이터를 복제해서 저장
    • 스트라이핑 : 데이터를 분할해서 분산 저장하는 방법
    • 패러티 : 특정 디스크가 망가졌을 때 데이터를 보호할 수 없는 스트라이핑을 커버
    • 핫 스페어 : 리빌딩을 통해 다른 디스크로 부터 고장난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한 디스크
  • 스냅 샷 : 실제 카피가 아닌, 원본 데이터를 가리키는 포인터와 변경 이력만을 관리 -> 많은 양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음
  • 씬(thin) 프로비저닝 :  가상 스토리지를 운영하여 실제 사용할 때, 할당 시켜줌
  • 씩(thick) 프로비저닝 : 사용자 요청에 따라 고정 할당을 시켜줌
  • 오토 티어링 : SSD, SAS, SATA 저장소에 대해 성능 위주, 용량 위주 인지 사용자의 데이터 패턴을 파악해서 데이터를 옮겨줌

3. 백업 데이터 보호

  • 중복제거 : 

4. 네트워크 IT 인프라의 혈관

  • OSI 7 계층 
    • 물리계층(Physical Layer) 
      • 리피터 : 물리적으로 신호를 증폭, 해저 광케이블에도 사용한다.
      • 허브 -> 더미 허브 : 진짜 그냥 자기 장비에 꽂힌 애들한테 복사해서 뿌린다.
    •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 MAC
      • 스위치 : MAC 주소를 확인하고,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해서 데이터를 전달함
      • VLAN : LAN 구성을 확장 시킴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TCP/IP
      • 스위치 : IP 주소를 확인하고, IP 주소 테이블을 확인해서 데이터를 전달함.
      • 라우터 : 스위치 보다 비쌈, 더 많은 인터페이스를 지원함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Port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추후 기술..

5. 가상화, 아나바다

6. 클라우드, IT 인프라를 서비스로

7. 데이터 센터, 무중단 인프라

8. BMT, 가성비의 확인

 

블로그의 정보

PyTong

PyTong

활동하기